顯示具有 華麗江山 標籤的文章。 顯示所有文章
顯示具有 華麗江山 標籤的文章。 顯示所有文章

2015年4月29日 星期三

瀟湘八景:東亞共同母題的文化意象




《東亞觀念史集刊》第6期(2014年6月),頁 35-55 

狹義的「瀟湘」,指流經中國湖南的瀟水和湘江。廣義的「瀟湘」,可泛稱整個中國湖南。從莊子和屈原開始,書寫「瀟湘」的作品凝聚了豐富的瀟湘文化底蘊。大約從唐代起,有瀟湘山水畫創作。北宋文人畫家宋迪以瀟湘的八個景致為題材,繪製「瀟湘八景圖」,成為東亞「瀟湘八景」詩畫的濫觴。 12世紀出使宋朝的高麗畫家在朝廷畫院學習了「瀟湘八景」詩畫。13世紀東渡日本的僧人傳入「瀟湘八景」詩畫。古代越南使臣出使中國的陸路途徑則會經過湖南境內。「瀟湘八景」是東亞諸國共同的詩畫抒情母題,通過「瀟湘八景」的文化意象,可以探析東亞的審美意趣。 本文概述「瀟湘八景」的源起,以及在中國、韓國、日本、越南的歷史發展情形,歸納出中國的「離憂愁緒」、韓國的「嚮往樂土」、日本的「幽玄禪思」、越南的「異域懷歸」,各具特色的藝術表現。 


Eight Views of Xiao-Xiang: The Culture Image of East Asia”,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6 (June 2014), pp. 35-55.

“Xiao-Xiang” refers to the Xiao River and Xiang River that flows
through Hunan area. Since Zhuangzi and Qu Yuan, literary creations on Xiao-Xiang have developed into a cultural image, and landscape paintings on Xiao-Xiang have also developed from Tang dynasty. Northern Song dynasty painter Song Di illustrated “Eight Views of Xiao-Xiang”, which initiated the poetry and painting creations on Xiao-Xiang in East Asia.
12th century, Goryeo ambassador painters have learned poetry and
painting creations on Xiao-Xiang in the Song court. 13th century, monks travelled to Japan also brought in poetry and painting works on Xiao-Xiang. The over land route of Ancient Vietnamese envoys also went through Hunan province. “Eight views of Xiao-Xiang” is a shared poetry and lyrical motif among East Asian countries. Hence, studying the cultural image of Xiao-Xiang will allow analysis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East Asian countries.
This paper summarizes the origins of “Eight View of Xiao-Xiang”, as well as their historical development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each with thei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2015年2月17日 星期二

소상팔경(瀟湘八景) : 동아시아 공통 모티프의 문화형상

金玄成贊「瀟湘八景圖」。九州國立博物館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한국문학과 예술 13, 2014.3,pp. 5-25

본 논문에서는 중국 ‘소상팔경(瀟湘八景)’의 기원, 한국⋅일본⋅월남에서의
소상팔경의 역사적 발전 상황을 개술하였다. 중국뿐만 아니라 주변 나라인 한국
(고려시기), 일본, 월남까지 ‘소상팔경(瀟湘八景)’의 영향을 받아, 각자 지역의 팔
경을 발전 변화시켜 색다른 ‘소상팔경(瀟湘八景)’ 시화(詩畫)를 창작하였다. 이에
‘소상팔경(瀟湘八景)’은 동아시아의 공통 모티프의 문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화 작품의 서정적인 표현 면에서 한국⋅중국⋅일본⋅월남의 개별
적인 특색을 비교해보았다. 비교의 결과 중국의 ‘이별에 대한 근심’, 한국의 ‘낙토
(樂土)에 대한 동경’, 일본의 ‘유현선사(幽玄禪思)’, 월남의 ‘외국에서의 고향에 대
한 회귀(懷歸)’ 등이 표현되었다. 이들은 모두 ‘소상팔경(瀟湘八景)’을 모티프로
하고 있으며, 이를 매개로 문화 형상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드러냈다.
동아시아 네 나라의 ‘소상팔경(瀟湘八景)’에 대한 예술 창작은 인간과 경관의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직접 소상에 갔던 월남의 시인이든, 지식으로 ‘개념풍경
(概念風景)’을 받아들였던 다른 나라 시인이든, 모두 ‘소상팔경(瀟湘八景)’을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인정하였다.



2013年9月8日 星期日

蘇軾對高麗「瀟湘八景」詩之影響 ──以李奎報〈虔州八景詩〉為例

The Influence of Su Shi on Gao Ryeo Dynasty ‘Eight Views of Xiaoxiang’ Poetry – Yi Kwei-po’s ‘Eight Views of Qian Zhou’ as an Example

《宋代文學研究叢刊》第10期(2004年12月),頁205-229

本文概觀了韓國高麗時代對東坡的推崇與學習,從科舉考試的科目和文壇對東坡文學風格的追求,得知高麗中期為韓國文學史上《文選》時代的結束,獨尊東坡時代之肇端,並以之為背景,討論李奎報〈虔州八景詩〉在韓國八景文學之地位與影響。

筆者以為:由於當時對東坡作品之熱愛,文人吟誦玩味,從而效法東坡之寫作形態、吸取其文學理念,因此產生仿照東坡〈虔州八境圖八首〉之詩作,李奎報不僅在題目上承襲東坡〈虔州八境圖八首〉,〈虔州八景詩〉裡也有多處習染東坡詩之軌跡,可見其受東坡影響之深刻。

李奎報〈虔州八景詩〉中的八景內容與中國「瀟湘八景」一致,標題卻以「虔州」代「瀟湘」,可見當時「瀟湘八景」的名稱在高麗尚未完全確立,筆者從東坡詩趙次公注裡,發現所謂宋迪「八景圖」者,別有記載,顯示北宋末年至南宋初年(相當於高麗中期)關於宋迪「八景圖」的八景個別題名並未定著,故而接受東坡詩集趙次公注的高麗文人會形成內容符合,總標題卻模稜兩可的現象。也正由於如此,中國「瀟湘八景」詩畫裡慣常投注的「瀟湘」文學意象,諸如懷憂失志、恨別思歸等抒情表現,很少發揮在韓國的「瀟湘八景」詩畫中;韓國「瀟湘八景圖」以歌頌江山美景為主調,後來趨同於「四時八景圖」,可以說,韓國「瀟湘八景」詩畫的文藝氛圍與中國和而不同,與「虔州八景」的製造頗有關係。

將李奎報的〈虔州八景詩〉置於韓國「瀟湘八景」詩的寫作脈絡中考察,還可得見其模擬李仁老、陳澕〈宋迪八景圖〉詩的情形,李奎報是轉化題畫詩性質的「瀟湘八景」詩為想像山水的開風氣者之一,啟發其後李齊賢的「松都八景」;再如朝鮮時代安平大君匪懈堂「瀟湘八景」詩的唱和諸公,也在憧憬瀟湘山水之際,雜糅入「虔州」的遙念,間接繼承了李奎報的詩心。

李齊賢八景詩詞與韓國地方八景之開創

The Poetry of Yi Zae-hyun and the Creation of Korean Local ‘Eight Views’

《中國詩學》第9輯(2004年6月),頁147-162

本文以韓國高麗時代文人李齊賢為對象,探討其八景詩詞對開創韓國各種地方八景之貢獻。

李齊賢共創作了兩套八景詩詞,分別為以「瀟湘八景」為題材的組詩八首、兩組詞十六闕(現存十五闕);以及以高麗「松都八景」為主題的組詩八首、兩組詞十六闕,本文針對這些作品,討論李齊賢如何學習中國的「瀟湘八景」,演變「瀟湘八景」為歌頌高麗首都,刻畫祖國山川的「松都八景」,繼而因「松都八景」之影響,產生韓國的各種地方八景。

作者在文中分析了李齊賢與萬卷堂主人高麗忠宣王的關係,因忠宣王之故結識中國著名的書畫家趙孟頫,並學習趙孟頫的〈巫山一段雲〉詞,寫作〈巫山一段雲.瀟湘八景〉以及〈巫山一段雲.松都八景〉。同時,作者也關心李齊賢歌詠高麗首都開城,獨創「松都八景」的時代意義,作者認為: 李齊賢遊歷中國長安,且險遭高麗亡國之危機,是促使「松都八景」出現的重要歷史背景。

李齊賢的「瀟湘八景」詩詞淡化了中國「瀟湘八景」原有的哀傷氣氛,轉為對於美好風景、和樂生活的讚頌,這種理想境界根植於故國土地,便形成了「松都八景」。以李齊賢為典範,韓國文人不但採用〈巫山一段雲〉詞牌寫作詠景聯章的「八詠(景)」詞,更大規模地仿照「松都八景」,推展了具有韓國特色的地方八景。

李齊賢의 八景詩詞와 韓國 地方八景의 開創
                                           

본 논문은 高麗文人 李齊賢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韓國의 각종 地方八景 개창에 있어 그의 八景詩詞가 어떠한 공헌을 하였는가라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제현이 창작한 八景詩詞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瀟湘八景⌋을 제재로 한 것으로 連作詩 8수와 連作詞 8題 16수(15수가 현존)가 있으며, 다른 하나는 고려의 ⌈松都八景⌋를 제재로 한 작품으로 연작시 8수 및 연작사 8題 16수가 있다. 본 논문은 이 작품들을 대상으로 이제현이 어떠한 상황에서 중국의 ⌈瀟湘八景⌋을 접하게 되었으며 또 어떠한 방식으로 ⌈소상팔경⌋을 고려의 수도를 歌頌하고 조국산천을 묘사한 ⌈송도팔경⌋으로 변용시켰는지, 그리고 ⌈송도팔경⌋의 영향으로 인해 어떻게 한국의 각종 지방팔경이 생성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제현과 萬卷堂 주인인 高麗 忠宣王의 관계을 분석하여 이제현이 충선왕으로 인해 중국의 저명 서화가 趙孟頫와 교분을 맺었으며, 아울러 그의 <巫山一段雲ㆍ瀟湘八景> 및 <巫山一段雲ㆍ松都八景>은 趙孟頫의 <巫山一段雲>詞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필자는 이제현이 고려의 수도 開城을 노래하여 ⌈松都八景⌋을 독창적으로 창작한 時代的 意義가 무엇이냐라는 점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이 점에 대해 필자는 이제현의 중국 長安 遊覽과 고려 망국의 위기 등이 ⌈松都八景⌋의 출현을 촉진시켰던 중요한 역사배경이라고 생각한다.

이제현의 ⌈瀟湘八景⌋詩詞는 중국의 ⌈瀟湘八景⌋이 원래 가지고 있던 哀傷의 분위기를 희석시켜 아름다운 풍경과 안락한 생활에 대한 찬송으로 바꾸었고, 이같은 이상적인 경지가 조국의 토지에 뿌리를 내려 ⌈松都八景⌋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이제현을 전범으로 삼은 한국문인들은 <巫山一段雲>詞牌를 채택하여 ⌈八詠(景)⌋詞를 창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욱 대대적으로 ⌈松都八景⌋을 모방하여 한국적인 특색을 구비한 地方八景을 대량으로 창작하였다.

朝鮮安平大君李瑢及「匪懈堂瀟湘八景詩卷」析論

Analysis of Li Rong and his ‘Eight views of Xiao-Xiang’ poems

《域外漢籍研究集刊》第1輯(2005年5月),頁113-139

安平大君李瑢(1418-1453),字清之,號匪懈堂,為韓國朝鮮時代世宗大王之第三子。安平大君性好文藝,能詩善畫,世宗24年(1442),獲得明周憲王朱有燉所刻之「東書堂歷代法帖」,其中有宋寧宗所書之「瀟湘八景」詩,於是「寶其宸翰,榻其詩,畫其圖」,並命文臣作詩唱和,謳賦者包括李永瑞、申叔舟、成三問等十餘人,為一時之盛事。

根據宋人沈括的《夢溪筆談》,「瀟湘八景」是:「平沙雁落」、「遠浦帆歸」、「山市晴嵐」、「江天暮雪」、「洞庭秋月」、「瀟湘夜雨」、「煙寺晚鐘」以及「漁村落照」,創作此八景的是曾經於北宋仁宗嘉祐年間任官於瀟湘(即今湖南永州)地區的文人畫家宋迪。宋迪之後,南宋的畫院畫家馬遠、王洪、畫僧牧谿和玉澗均曾繪製「瀟湘八景圖」。「瀟湘八景圖」的題材在南宋流傳到高麗和日本,受到兩國畫家的矚目,從而仿傚繪製,於是從十二世紀以來,「瀟湘八景」一直是中、日、韓畫家創作不衰的畫題,原本地方色彩濃厚的「瀟湘八景」,展現了跨越地理空間及民族差異的特殊現象。

本文探討之重點包括:
一、 安平大君李瑢及其藝文生涯。
二、 「匪懈堂瀟湘八景詩卷」之傳承與創新。
三、 「匪懈堂瀟湘八景詩卷」呈現之藝術觀及其實踐。



高麗文人李仁老、陳澕與中國瀟湘八景詩畫之東傳

中國學術第16輯(2004年1月),頁158-176

The GoRyeo dynasty literati Lee In-Ro and Jin Hwa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oems and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北宋文人畫家宋迪所創製的「瀟湘八景圖」概念,大約於12世紀流傳至韓國,時值韓國高麗時代。本文嘗試從高麗與中國的歷史、文學與繪畫藝術史中,透過宋迪、宋徽宗、高麗明宗、李寧、李光弼、王可訓、惠洪、李仁老和陳澕等人,考察中國「瀟湘八景」詩畫東傳高麗初期的情況。

深愛宋迪「八景圖」的宋徽宗,曾命前來中國的高麗畫家李寧指導王可訓等畫院畫家,王可訓嫻熟宋迪「八景圖」的藝術,因此李寧也可能經由王可訓習得宋迪「八景圖」,再傳授給其子李光弼,李光弼再間接散布了宋迪「八景圖」的文藝氣息。宋迪師法李成,在中國失傳的北方李成、郭熙畫派「瀟湘」山水畫創作風格,自高麗朝至朝鮮時代成為主流,宋迪為其契機。

在「瀟湘八景」詩畫東傳的歷史過程中,另具有關鍵性意義者,即為高麗文人李仁老與陳澕。李仁老於1182年、陳澕於1209年出使金,兩人很可能就在金國欣賞了原收藏於徽宗宮廷,後來在靖康之難時被金人擄取的宋迪「八景圖」,故而南宋文人無緣得見、從未題詠的宋迪「八景圖」,反而在高麗文人的詩作中出現。

釋惠洪是中國唯一題寫過宋迪「八景圖」的作者,本文比對釋惠洪與李仁老、陳澕的題畫詩,可以發現在遣詞敘述和形象描摹方面的雷同,李仁老和陳澕或許讀過惠洪的作品,從而承襲仿傚;更可能由於觀賞的是構圖內容與風格近似的畫作,於是異曲同工。李仁老和陳澕的宋迪「八景圖」題畫詩為高麗文人題詠「八景圖」之開山之作,對後世深富影響力。


The secular taste in Korea "Eight views of xiao-xiang" folk paintings

The Korean “Eight Views of Xiao-Xiang” folk paintings had on one hand inherited the art of the original Chinese paintings, while on the other hand created a style of their own, after it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ountry in the 12th century. The Korean styled folk paintings are free and unrestrained; whether in form, brushwork, lines, colour and subtitles, they are very much dissimilar to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paintings produced by Chinese literati.